안녕하세요, 기상청 업무에 항상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슬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지면이나 물체의 표면에 응결하여 생긴 물방울을 말합니다. 이슬은 밤 사이에 지면이나 물체의 표면온도가 계속 내려가다가 접하고 있는 공기의 이슬점온도보다 낮아질 때 생깁니다. 이슬점온도란, 습기를 많이 갖고 있는 공기를 계속 차갑게 하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어느 온도에선가 응결하기 시작하는데 바로 이때의 온도입니다.
또 하나는 따뜻하고 습기를 많이 갖고 있는 공기가 그 이슬점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지면 위를 지나는 경우에도 생기는데, 이럴 때 만약 지표면의 온도가 0℃ 이하로 내려가면 이슬이 얼게 됩니다. 처음부터 지표면온도가 0℃ 이하였다면 수증기는 물방울로 맺히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서리가 됩니다. 그러니까 이슬은 표면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내려갔을 때 생기고, 서리는 지표면의 온도가 0℃ 이하로 내려갔을 때 생기는 것입니다.
그 밖의 궁금하신 사항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문의해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담당부서 : |
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 전주기상대 (☎ 063-284-0131)
|
관련법령 : |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제11조(관측기반국) | |
출처: 국민신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