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에 대하여

사회,문화
0 투표
1. 콩의 옆면적 지수에 따른 수량증가를 알고 싶어요
예를들어 옆면적지수 2인것과 10인 콩의 수량 차이점과 장단점요

2. 토양 비옥도와 파종 시기에 따른 콩의 파종 밀도을 어떻게 하면 될까요?

3. 밭작물 재배시 고려해야할 사항 좀 알려 주세요 ㅜㅜ


이유를 설명 해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ㅜㅜ

1 답변

0 투표
안녕하세요.
우리청 국민신문고를 이용하여 주셔서 감사를 드립니다. 박영필님께서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1. 콩의 엽면적 지수에 따른 수량증가를 알고 싶어요.
 콩의 잎은 광합성 산물에 의하여 영양기관의 생장과 동시에 꼬투리 및 종실을 발육시키므로 엽면적지수의 대소는 수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콩에서 엽면적지수는 개화기까지 계속 증가하여 엽면적지수가 5-8정도가 되고, 그후 아래잎이 황화되고 떨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됩니다.
콩에서 엽면적지수가 8 이상으로 지나치게 많거나 4 이하가 되면 광합성에 영향을 주어 수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수량증가를 위한 최적엽면적지수는 4-6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기상조건, 토양비옥도, 수광태세 등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콩에서 엽면적이 8 이상인 경우는 대개 밀식조건으로 개개의 잎이 서로 가리거나 겹친 상태로 되어 광투과를 저해하여 중, 하위 잎들이 햇빛 받는 량이 적어 광합성율이 감소하여 엽면적의 증대가 오히려 수량증대를 가져오지 못합니다. 보통 수광량이 충분할 경우 엽면적지수가 5-6정도, 수광량이 부족한 상태에서는 엽면적지수가 3-4정도에서 최대의 광합성량을 나타냅니다.
2. 토양비옥도와 파종시기에 따른 콩의 파종밀도를 어떻게 하면 될까요?
콩의 파종밀도는 재식거리나 파종량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토양이 비옥하거나 파종시기가 적기보다 빠른 경우 그리고 시비량이 많을 때는 재식거리를 넓게하고, 반대로 토양이 척박하거나 적기보다 늦게 심을 경우는 재식거리를 좁혀서 심는 것이 수량감소를 막을 수 있습니다. 재식거리를 넓게 하면 종자소요량 즉 파종량이 적어지고, 재식거리가 좁아지면 파종량을 많게 해야 합니다.
3. 밭작물 재배시 고려해야 할 사항 좀 알려주세요?
작물재배의 최종 목표는 생산량을 높이는 것 즉 품질과 수량을 높이는 것이라 볼수 있는데 작물의 품질과 수량을 높이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을 보면 첫째로 알맞은 품종선택, 둘째는 적기 파종, 셋째로 균형시비, 마지막으로 배수, 잡초, 병충해 방제 등 정밀관리작업 등이라 볼수 있습니다.
또 다른 문의사항에 대하여는 전화 1544-8572로 연락주시면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2013.10.10. 농촌진흥청 고객지원담당관실
    담당부서 : 농촌진흥청 기획조정관 고객지원담당관 (☎ 031-299-1063)
    관련법령 :
민원사무 처리에 관한 법률제15조(처리 결과의 통지) 

출처: 국민신문고

구로역 맛집 시흥동 맛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ad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