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계기준

사회,문화
0 투표
나라마다 통계기준이 다르면 국민은 어떤나라의 통계를 믿어야 하나요.
세계화시대에 맞게 우리나라도 통계를 세계기준으로 만들고 있는지요?
가령 무역통계의 경우 집계방식의 차이로 나라마다 통계발표가 다르다면 통계 활용이 어려울 것입니다.

1 답변

0 투표

말씀하신대로 통계기준이 다르면 통계는 믿을 수가 없게 됩니다.

 

통계를 읽을 때 유의할 점으로

- 비교되는 수치가 같은 기준에서 수집된 것인가?

- 표본통계의 경우 표본 구성은 적절한가?

- 제시되는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가?(통계적 유의성)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통계청은 국가 중앙통계기관으로서 국가통계가 각종 의사결정을 합리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공공자원이 될 수 있도록 국가통계 기준을 설정하고 통계에 관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조정, 정비하는 등 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통계법 제4조)

통계청은 국가통계를 승인할 때 명칭, 작성 목적, 작성사항(항목), 대상(모집단, 표본설계 등), 기준시점, 작성방법, 자료수집 체계, 통계작성에 사용하려는 분류/기준, 조사표/통계표 등을 심사하고 있으며,(통계법 제18조와 동법시행령 제24조)

 

특히 통계법 제17조1항에서 정책의 수립 및 평가에 널리 활용되는 통계로서 통계청장이 지정하는 지정통계는

- 국제연합 등 국제기구에서 권고하는 통일된 기준 및 작성방법에 따라 작성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통계법에 따라 충실한 국가통계의 작성, 보급 및 이용기반 구축 등을 위한 체계가 가동되고 있으며 이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하여 통계청을 중심으로 계속 노력하고 있음을 이해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한편, 말씀하신 무역통계의 경우에도 통계작성 주체 별로 다른 기준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통계를 보실 때 유의하실 수 있도록 통계 제공 기관에서 다양한 설명 자료를 제공하고 있사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http://ecos.bok.or.kr)에서 ‘통계연구/간행물>주요통계간행물’에서 ‘국제수지표의 이해’ 파일을 참고 바랍니다.

- 통계청의 통계설명자료 (http://meta.narastat.kr)>에서 ‘주제별 메타자료>무역.외환.국제수지>무역통계’ 순으로 참고 바랍니다.

    담당부서 : 통계청 기획조정관 창조행정담당관 (☎ 042-481-3600)
    관련법령 :
통계법제27조(통계의 공표) 

출처: 국민신문고

구로역 맛집 시흥동 맛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ad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