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무원의 초임호봉은 「공무원보수규정」제8조에 의거,【별표15】의 제5호 및 제6호에 의해 획정한다.
  
경력에 특별승급 또는 승급제한 등의 사유가 있을 때에는 이를 가감하고, 경력과 경력이 중복될 때에는 그 중 유리한 경력 하나에 대해서만 획정하여야 한다.
  
 
  
* 교사 호봉 획정 방법
  
1. 경력환산율표 적용
  
  ① 경력기간 합산신청서 배부
  
  ② 경력의 증명 및 조회(경력인정 여부 결정)
  
  ③ 교육공무원 등의 경력환산율표 적용(공무원보수규정 별표22)
  
2. 학령 및 경력연수 가감 산정
  
  ① 유치원, 초등학교 교원 등 학령가감 산정(공무원보수규정 별표23)
  
  ② 국립대학 교원 등 경력연수 가감 산정(공무원보수규정 별표24)
  
3. 기산호봉 적용
  
  ① 유치원, 초등학교 교원의 자격별 기산호봉(공무원보수규정 별표25)
  
  ② 국립대학 교원의 대학, 전문대학 직명별 기산호봉(공무원보수규정 별표26)
  
4. 초임호봉 획정
  
  ① 초임호봉표 적용
  
  ② 잔여기간 계산(호봉계산)
  
  
  
| 담당부서 : | 경기도교육청 교육국(북부청사) 유아특수교육과(북부청사)  (☎ 031-820-0609) 
 | 
  
          
출처: 국민신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