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사업 목적)그동안 제품을 단순 부품결합체로 보던 시각에 '특허복합체'라는 관점을 추가로 접목시켜, 
  
   연구개발의 최종목적을 다수의 '돈 되는 강한 특허' 획득 및 선점으로 체질 개선
  
 - 미래 新성장 동력분야에서 기업 수요를 바탕으로, 향후 5~10년 뒤 세계 시장을 주도할 핵심·원천·표준특허에 
  
   관한 지재권 포트폴리오와 이를 구현할 전략*을 제시
 * 국가 R&D, 산학연 자체 R&D, 제3기업과의 기술제휴, 크로스 라이센싱, 공동 R&D 전략, 원천·핵심특허
  
    보유  기업 인수합병(M&A) 등 
  
- 국가와 기업의 핵심·원천·표준 특허 확보 지향형 R&D 과제를 추진하여 국가 R&D의 질적 생산성 제고와 
  
  신산업 창출에 적극 기여
  
O 지재권 획득전략 수립 방법론 
  
- (1단계) 미래 시장요구, 소비 트렌드, 기술개발 및 특허동향 등을 조사·분석하여, 미래시장을 주도할 
  
   제품이나 핵심·원천기술을 예측 
  
- (2단계) 국내기업이 특허공세에 흔들림 없이 사업하거나, 특허 자체로 수익을 창출하는데 유리한 최적의 
  
   「지재권 포트폴리오」와 강한 특허 확보형 R&D 과제 제시 
  
- (3단계) 「지재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개별 특허 획득전략(국가, 산학연 연계 또는 기업자체 R&D를
  
   통한 특허획득, 주요기업의 특허매입 또는 기술제휴)을 제시
  
O(추진실적) 기술분야별 핵심특허(5,900여건), 지재권 포트폴리오 및 이를 구성하는 개별 특허의
  
  획득전략(6,440여건), R&D전략(1,240여개) 등 제시
  
  
  
| 담당부서 : | 특허청 대변인  (☎ 042-481-5028) 
 | 
  
      
출처: 국민신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