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추풍령기상대에서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서리는 지면 부근의 기온이 0℃ 이하로 떨어져 공기 중의 수증기가 땅 부근의 물체에 얼어붙는 흰 가루 모양의 얼음을 말합니다. 서리가 내린다고 표현하지만 사실 서리는 공중에서 비나 눈처럼 내리는 것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지표면 위에서 얼어붙어 나타나는 얼음 결정체입니다.
서리는 대기 중에 수증기가 많고, 바람이 없는 맑은 날에 잘 발생합니다. 구름 한 점 없이 맑은 날 밤엔 낮에 가열된 땅이 열을 많이 잃어 복사냉각의 효과가 크기 때문입니다. 반면 바람이 부는 날에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진다 하더라도 수증기가 흩어지기 때문에 서리가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늦가을에 서리가 내리면 수확기 농작물이 얼어 큰 피해를 주기 때문에 농가에서는 미리 대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그 밖에 궁금하신 사항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문의 해 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 해 드리겠습니다.
담당부서 : |
기상청 대전지방기상청 추풍령기상대 (☎ 043-742-2619)
|
출처: 국민신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