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기반항행(PBN), RNAV, RNP Q&A

사회,문화
0 투표
성능기반항행(PBN) Q&A, RNAV, RNP

1 답변

0 투표
== 성능기반항행(PBN) Q&A ==

Q1. 성능기반항행(PBN)이란?

과거 항공기는 지상에 설치된 항행안전시설이 제공하는 전파를 따라서 비행하는 '재래식(Conventional) 항법'에 의존하였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항공기 탑재장비 및 인공위성 등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항공기들이 '원하는 어떠한 경로라도 비행이 가능한 지역항법(RNAV : aRea NAVigation)' 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항공기 전자장비에 목적지 및 경유 지점의 좌표만 입력하면,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현재위치를 계산하면서 입력된 지점으로 항공기를 비행케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지역항법(RNAV)을 기능 및 항행 정밀도를 기준하여 비행로를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로 “성능기반항행(PBN)"입니다.

Q2. 지역항법(RANV)으로 비행 시 항공기는 자기 위치를 어떻게 파악하나요?

지역항법 시 인공위성(GNSS), 관성항법장비(INS) 또는 지상항행시설을 이용합니다.
1) 인공위성 : 4~6개의 위성으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위성의 위치, 시간정보)를 RNAV 시스템이 계산하여 항공기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위성으로는 GPS(미국), Galileo(유럽), GLONASS(러시아)가 있습니다.

2) 관성항법장비 : 비행기가 움직이는 동안 가속도를 측정한 후 최초위치 대비 비행거리를 계산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사용하는 INS와, 보다 정밀한 '자이로레이저'(Gyrolaser)를 사용하는 IRU가 있습니다.

3) 지상 항행안전시설 : 지상의 전방향무선표지지설(VOR/DME) 또는 2개 이상의 거리측정장비(DME)의 위치와 이 시설이 제공하는 방위 및 거리정보를 계산하여 항공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시설의 정확한 위치(좌표)가 항공기의 항행 데이터베이스에 사전 입력되어 있어야 합니다.

Q3. PBN을 이용한 비행로의 종류는?

PBN을 이용한 비행로는 기능과 항행정밀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1) 기능에 따른 구분 : 항공기가 스스로 비행로 이탈여부를 감시하고, 이탈시 조종사에게 경보를 제공하는 '성능감시 및 경보기능(OPMA)'의 유무에 따라서 RNAV와 RNP로 구분합니다. → OPMA가 요구될 경우엔 'RNP 비행로'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RNAV 비행로'로 명명합니다.

즉, RNP 비행로는 항공기가 'RNAV 시스템'과 'OPMA 기능'을 갖추어야 사용할 수 있는 비행로를 의미하며, RNAV 비행로는 'RNAV 시스템만 갖추면 사용할 수 있는 비행로를 의미합니다.



2) 항행정밀도에 따른 구분 : 'RNAV' 및 'RNP' 비행로 명칭에는 항행정밀도를 의미하는 숫자(마일 단위)가 추가됩니다. 즉, 'RNP 2'는 비행경로를 중심으로 좌우 2마일 이내로 비행할 수 있는 항행정밀도가 요구되며, OPMA기능이 요구되는 비행로를 의미합니다. 만약, 비행로 명칭이 'RNAV 2'일 경우에는 비행경로를 중심으로 좌우 2마일 이내로 비행할 수 있는 항행정밀도가 요구되나 OPMA기능은 요구되지 않는 비행로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예 : RNP 2 비행로>

* 보다 자세한 사항과 궁금하신 내용은 032)880-0223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담당부서 : 국토교통부 항공교통센터 공역과 (☎ 064-797-2225)
    추가문의처 :
국토교통부 민원콜센터 (☎ 1599-0001) 
    관련법령 :
기타 

출처: 국민신문고

구로역 맛집 시흥동 맛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ad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