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한 사정때문에 인수인계는 하지도 못하고 나오게 되었는데요
한번 사장이랑 급여문제로 통화를 했는데요 퇴직하기전에 회사에서 만든 제품 출고된것이
불량이 났다면서 불량난만큼 돈을 공제하고 준다고 하더군요
남은 급여에서 공제하고 지급하는게 맞는건가요?

1 답변

0 투표

안녕하십니까?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입니다. 
귀하께서 질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안내드립니다. 

○ 근로기준법 제36조(금품 청산)에 의거 사용자는 근로자가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에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 제품 불량건에 대한 손해배상은 노동관계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제품 불량을 이유로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하지 않거나 임금에서 일정부분을 공제하고 지급할 수는 없으며 손해배상에 대하여는 민사적으로 해결하여야 합니다 .
참고로,  민사와 관련하여서는 대한법률구조공단(국번없이 132번)에서 상담을 받을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 따라서, 귀하가 퇴직후 14일이 지났음에도 사업장에서 임금(또는 임금 중 일부)을 지급하지 않는다면 사업장 관할 노동관서에 임금체불로 진정(신고)가능함을 안내드립니다.

※ 진정제기 방법 
① 사업장관할 지방고용노동청에 방문하여 신고 
<고용노동부 홈페이지(www.moel.go.kr) → 상단의 ‘민원마당’ → 지방청.센터찾기 → 지방관서 > 참조 
② 인터넷을 통한 진정제기 
<고용노동부 홈페이지(www.moel.go.kr) → 민원마당 → 민원신청 → 임금체불진정신고서( 오른쪽 “신청”버튼 클릭> 

☞ 기타 노동관계법과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www.moel.go.kr) → 정책마당 ’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라며,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국번없이 1350)에서도 신속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답변내용은 구체적인 사실관계에 따라 법 적용에 예외가 있을 수 있고, 인터넷 질의응답은 법적인 효력을 갖는 결정이나 판단이 아니므로 각종 권리주장의 근거 또는 증거자료 등으로는 사용할 수 없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상담1과 (☎ 1350)
    관련법령 :
근로기준법제36조(금품 청산) 

출처: 국민신문고

ad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