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팝나무

식물
0 투표
이팝나무에 자세한 정보를 알려주면~
답변과 관련되는: 이팝나무 정보

1 답변

0 투표

이팝나무(Styrax japonicus)는 늦봄에 눈송이 같은 흰 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봄의 눈꽃수목’이라 불리는 관상수입니다. 아래 항목별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분류 및 명명

  • 학명: Styrax japonicus
  • 한국명: 이팝나무
  • 영명: Japanese snowbell
  • 과(科): 물푸레나무과(Styracaceae)

‘이팝나무’라는 이름은 꽃이 터지며 흩날리는 모습이 팝콘처럼 보인다고 하여 ‘이(梨)팝’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2. 생태적 특징

  • 수형(樹形): 원추형에 가까운 우산형 수관을 형성하며, 성목은 높이 6~8m까지 자랍니다.
  • 수피(樹皮): 어린 나무는 매끈하고 회갈색, 성숙하면 가로로 균열이 생겨거친 느낌을 줍니다.
    • 형태: 타원형 또는 난형, 끝이 뾰족
    • 길이: 6~10cm, 너비 3~5cm
    • 색상: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
    • 낙엽성 수종으로 가을에 노랗게 물들었다가 낙엽
    • 개화시기: 5월 중순~6월 초
    • 색상: 순백색
    • 형태: 종 모양의 작은 꽃이 길이 1cm 내외, 수많은 꽃이 빽빽이 매달려 화려함
    • 향기: 은은한 달콤한 향
  • 열매
    • 결실시기: 9월~10월
    • 형태: 둥근 핵과(核果), 지름 1cm 내외, 단단한 껍질 안에 종자 1개

3. 분포 및 서식지

  • 원산지: 일본, 중국 동부
  • 한국 분포: 전국 각지에서 조경수로 심음
  • 서식지: 햇빛이 잘 드는 양지 또는 반음지, 배수가 잘 되는 토양 선호

4. 재배 및 관리 요령

  1. 식재 위치
    • 일조량: 하루 4시간 이상 양지 확보
    • 토양: 비옥하고 배수가 잘되는 중성~약산성 토양
  2. 물주기
    • 식재 초기 2~3년간은 흙이 마르면 충분히 물주기
    • 성목은 내건성이 있으나 가뭄 시 보습 관리 필요
  3. 비료
    • 봄(3월)과 가을(9월)에 완효성 비료 혹은 유기질 비료
  4. 전정(剪定)
    • 꽃이 진 직후 잔가지 정리, 그늘 내는 큰 가지는 숲속 정도로 가지치기
    • 겨울 전후로 수형 교정
  5. 병해충
    • 주로 응애, 깍지벌레, 목질부 썩음병 발생 가능
    • 예방 위해 통풍·일조량 확보, 발생 시 농약 방제

5. 활용 및 가치

  • 관상용: 5월의 화려한 백색 꽃과 가을 단풍을 즐기기 위해 공원·도로변 조경수로 널리 이용
  • 약용: 전통적으로 한방에서 열매를 소염·진정제로 쓰기도 하나, 현대에는 관상적 가치가 큼
  • 정원수·가로수: 비교적 관리가 쉽고 수형이 아름다워 정원·가로수용으로 적합

6. 문화적 의미

  • 한국의 늦봄 풍경을 대표하는 꽃나무로, ‘이팝꽃’이 흐드러진 길은 많은 사진가들이 즐겨 찾는 촬영 명소입니다.
  • 지역축제나 마을잔치의 상징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요약

이팝나무는 늦봄에 흰 종 모양 꽃이 폭포처럼 늘어져 기품 있는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낙엽성 관목 또는 교목입니다. 관리가 비교적 쉽고 한국 기후에 잘 적응해 공원·정원·가로수로 인기 있으며, 꽃과 단풍, 수형이 모두 뛰어나 사계절 감상이 가능합니다.

문의 4 일 식물 나무야놀자 요즘 가로수로 이팝나무를 많이 심는 이유가 있나요?
구로역 맛집 시흥동 맛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ad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