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마늘이 녹색(or 청색)으로 변할까요?

식물
0 투표
왜 마늘이 녹색(or 청색)으로 변할까요?
답변과 관련되는: 마늘의 효능은 뭐가 있나요?

1 답변

0 투표

요즘 다진 마늘을 꺼냈는데 갑자기 초록빛 혹은 파란빛이 돌면 깜짝 놀라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색만 바뀌었을 뿐, 먹어도 무방하답니다. 그럼 왜 마늘이 이런 ‘컬러풀’ 변신을 하는지, 속사정을 파헤쳐볼게요!


1. 싹 틔우려고 뿜어내는 효소의 짓

  • 저온·장기 저장 중인 마늘은 ‘내부에서 싹을 틔우자!’라는 신호를 받아요.
  • 이 과정에서 특정 효소가 작동하면서, 엽록소(초록색 색소)를 모으거나 생성하도록 유도하죠.
  • 통마늘 상태에선 천천히 일어나지만,
    • 마늘을 으깨거나 다지면 효소 반응이 폭발적으로 활성화!
    • 그 결과 다진 면 곳곳에 초록·청색 자국이 송글송글 나타나는 겁니다.

2. 마늘 속 황화합물×철의 컬래버

  • 마늘에는 강력한 살균·항균 성분인 알리신 같은 황(황화합물)이 풍부해요.
  • 여기에 마늘 속 극미량 철(Fe) 성분이나 믹서·칼 등 조리 기구에서 묻어난 철 성분이 만나면,
  • 황화철(FeS)이 형성되면서 파란빛·녹빛이 돌기도 합니다.
  • 즉, 마늘 속 천연 성분끼리도, 조리 도구와 만나도 ‘화학 이펙트’가 일어나는 거죠!

3. 그 외 ‘맛있게’ 벌어지는 화학 반응

  • 유기산 + 환원당, 아미노산 + 환원당 같은 다양한 식품 화학 반응도 색 변화를 유발해요.
  • 단순히 저장 환경만 탓할 수 없는,
  • 마늘 속 여러 분자들이 서로 ‘수다 떨다’ 빚어내는 부작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결국, 이 컬러 쇼는 ‘무해’ 그 자체

  • 농약? 발아억제제? NO!
  • 100% 효소·화학 반응 덕분이니 안심하고 드셔도 돼요.
  • 오히려 신선도가 높다는 증거이기도 하고요.

️ 녹변(청변) 방지 꿀팁

  1. 다진 뒤 보관은 냉동이 최고
    • 얼음 트레이에 소분 후 냉동 → 필요할 때 바로 꺼내 쓰면 컬러 걱정 끝
  2. 40℃ 24시간 열처리
    • 다진 마늘을 40℃ 이상에 두면 효소가 불활성화되어 색 변화를 막아줘요.
  3. 저장 온도 주의
    • 4℃에 오래 두기보다,
    • 가급적 서늘(~10~15℃), 건조·통풍 잘되는 곳에 통마늘로 보관하는 게 좋아요.

마늘의 색이 바뀐다고 해서 맛이 확 달라지진 않으니,
다음에 초록·파란 마늘을 만나더라도 ‘오케이, 자연의 화학 쇼구나~’ 하고 즐겨보세요!

구로역 맛집 시흥동 맛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ad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