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의 단어 형성

한국어
0 투표
'한글 맞춤법' 제21항에는 '명사나 혹은 용언의 어간 뒤에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은 그 명사나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어간 뒤에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된 것으로 '낚시'가 나오는데, 그렇다면 '낚시'는 동사 어간인 '낚'에 접미사 '시'가 붙어서 형성된 단어라는 의미가 됩니다. 그런데 '시'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 보니 접미사에 해당하는 말은 없었습니다. 제 생각엔 '낚다'의 고어 '낛다'의 어간 '낛'에 접미사 '이'가 붙어서 '낙시>낚시'가 된 듯한데, 접미사 '시'는 어떻게 된 것일까요?
Dietary interventions aiming at reducing sodium intake failed to demonstrate an effect on all cause mortality in hypertensive and non hypertensive individuals <a href=https://vkamagras.cyou>buy kamagra usa</a> Among the principal issues addressed have been
<a href=http://cialis.boats>purchasing cialis online</a> Diastolic Heart Failure
<a href=http://nolvadex.hair>buy tamoxifen</a> It s metabolized by our liver and or CPY enzymes are working arduously
<a href=https://priligy.bond>amazon priligy</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d compare the biodistribution profile of tamoxifen when administered intravenously i
For example, nausea and vomiting can be minimized by eating bland foods and smaller meals <a href=http://propecia.bond>propecia vs proscar</a>
<a href=https://zithromax.top>is azithromycin an antibiotic</a> Try to consume an amount of protein daily equivalent to 18 of your total calorie intake 90g for a 2000kcal diet
I would love to hear from someone who has tried this <a href=http://zithromax.top>buy zithromax (azithromycin)</a> Alteration of drug solubility
<a href=http://buycialis.homes>buy cialis 20mg</a> If you take it at the wrong hour, you may need to cancel your cycle
In this study, control rats were each injected with 100 Ојl of endotoxin free saline, and the iris ciliary bodies were collected 6 h later <a href=https://buycialis.homes>buy cialis online europe</a>
5, 6 Given his renal impairment and genetic background, his cardiovascular risk was likely to be significant, even at this young age <a href=https://buycialis.autos>buying cialis online forum</a> There have been no reported studies evaluating the effect of these newer SERMs on serum TBG concentrations or thyroid function in euthyroid women

1 답변

0 투표
문의하신 것과 관련하여, 보기에 제시한 '낚시'의 어원 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보기> ‘낚시’는 17세기 문헌에 ‘낙시’로 나온다. ‘낙시’는 ‘낙시갈고리, 낙시갈구리, 낙시, 낙시밥, 낙시줄’ 등에서 보듯 합성어의 구성 요소로도 많이 쓰였다. 이 ‘낙시’는 ‘낛’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형태이다. ‘낛’은 15, 16세기에 많이 쓰였는데, 지금의 ‘낚시’와 같은 의미이다. 명사 ‘낛’은 동사 ‘낛다’와 어휘적 파생 관계에 놓인다. 이렇게 보면 ‘낛’이 ‘낙시’로 변하고 이어서 ‘낚시’로 표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선어사전>(1920)에는 ‘낚시’는 보이지 않고 ‘낙시’만 나오며, <조선어사전>(1938)에는 ‘낙시’와 ‘낚시’가 함께 보이는데 ‘낚시’를 중심 표제어로 잡고 있다. <큰사전>(1947)의 경우도 <조선어사전>(1938)의 기술 양상과 같다. 아마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 각자병서 받침을 인정하여 ‘낛-’을 ‘낚-’으로 표기하게 되면서 ‘낚-’에 이끌려 ‘낙시’를 ‘낚시’로 표기하게 된 것이 아닌가 한다.(출처: 21세기 세종계획 누리집, 한민족 언어 정보, 국어 어휘의 역사.)

출처: 국립국어원

ad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