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 불규칙 "눌리다, 불리다"

한국어
0 투표
제목의 예뿐만 아니라, 누르다 -> 눌리다, 구르다 -> 굴리다 등등 '부르-이-/-히-/-리-/-기-다' -> '부르(이)다, 부르(히)다, 부르(리)다. 부르(기)다', '누르-이-/-히-/-리-/-기-다' -> '누르(이)다, 누르(히)다, 누르(리)다. 누르(기)다', '구르-이-/-히-/-리-/-기-다' -> '구르(이)다, 구르(히)다, 구르(리)다. 구르(기)다' 보통, 어근 뒤에 피동 접사가 붙어서 피동사가 되는데 예를 들어 '잡다'의 피동형은 '잡(히)다' '잊다'의 피동형은 '잊(히)다' 등등 이들은 어근에 변화가 없습니다. 형태는 온전히 유지된 상태에서 단지 접사만 붙어서 파생 피동사가 생성되는데요. 그런데 위 경우들은 어떤 과정에 의해서 'ㅡ'가 탈락되는 건가요? 그리고 피동 접사는 다양한데 어떤 조건에 의해서 선택되는 건가요? 제게는 당연히 모국어라서 문법적 직관에 의해서 선택이 가능하지만 외국인에게 설명하는 경우라면 어떤 식으로 설명해야 하는 건지요. 표준어 선택의 문제인가요? 아니면 단지 '불리다'를 표준어로 규정하는 규정 문제인가요? 상관관계는 없나요?

1 답변

0 투표
피동사 '눌리다, 불리다'와 사동사 '굴리다'는 '르' 불규칙 용언인 '누르다, 부르다, 구르다'에서 파생되었고, '잡히다(잡-+-히-), 잊히다(잊-+-히-)'는 규칙 용언인 '잡다, 잊다'에서 파생되었습니다. 이처럼 불규칙 용언 또는 규칙 용언이라는 차이가 파생어의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피동사와 사동사로의 파생은 귀납적으로 범주화할 수 있는 것이지, 어떤 엄격한 원칙에 따라 범주화되어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출처: 국립국어원

구로역 맛집 시흥동 맛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ad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