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금

0 투표
열대아시아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는 울금(鬱金)은 생강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약용 또는 식용 염료 화장품 등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어 온 자연이 내린 천혜의 선물입니다.
정의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개설
심황(深黃)·울금(蔚金)·을금(乙金)·걸금(乞金)·천을금(川乙金)·옥금(玉金)·울금초(鬱金蕉)·금모세(金母蛻)·마술(馬0x967b)·황제족(黃帝足) 등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Curcuma longa L.이다. 꽃은 녹백색의 수상화서(穗狀花序: 이삭 모양의 꽃차례)가 20㎝ 가량 나와서 매 포엽(苞葉)의 끝에 황색의 작은 꽃이 핀다. 근경(根莖)은 비대하고 난구형(卵球形)이며, 끝에는 방추형의 괴근(塊根)이 달려 있고 단면은 선황색이다. 흔히 혼동하기 쉽지만, 덩이뿌리에 달리는 울금은 뿌리줄기에 달리는 강황과 구별된다.

잎은 근생하되 4∼5개가 두 방향으로 나 있으며 위경(僞莖)을 형성하고 엽신(葉身)은 긴데 끝이 뾰족하다. 열대아시아 원산으로 우리 나라·인도·인도네시아·중국·대만·일본 등에 분포한다.

"조선시대에는 전주부 임실현(任實縣)에서 생산되는 것이 좋았다"고 한다. 가을부터 괴근을 채취하여 염색용은 5∼7일간 일광에 건조시키고 약재는 쪄서 일광에 건조시킨다.

내용
울금은 괴근이 대표가 되는 것으로 약용·식용·염색용으로 이용된다. 특히 염료로서의 울금은 중국에서 많이 사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마르코 폴로는 예로부터 중히 여기는 울금이 중국 푸젠성[福建省]에 있다 하였고, 명나라 때의 『통아(通雅)』에 울금으로 황색을 염색한다고 하였으며, 『위지(魏志)』에도 왜인이 울금을 헌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미얀마에서는 승려복을 울금으로 염색하였다.

『산림경제(山林經濟)』에서는 “모양이 매미배 같고 좋은 것은 향이 심하지 않고 가벼우며 양(揚)해서 울금주는 능히 고원(高遠)까지도 주기가 달하므로 강신(降神)에 사용한다.”고 하였고, 『규합총서(閨閤叢書)』와 『상방정례(尙方定例)』에는 염색법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울금값이 싸고 산성욕에서 선명하게 염색되므로 반홍색(磻紅色) 염색에 이용하였다. 정주(鼎紬) 1필 염색에는 단목(丹木) 8냥(兩), 울금 2냥으로 색소를 추출하고 백반 2냥으로 발색시켰다. 잇꽃과의 교염으로는 홍비색(紅緋色)을 염색하였다. 염색방법은 잘게 썬 울금을 물에 불려서 강판에 갈고 절구에 찧어 밭쳐서 사용하였다. 그 밖의 방법은 울금분말을 만들어 물에 담가서 염색하고 산으로 발색시킨다.

근년에는 유기용제에 용해하여 색소를 추출하고 염색하여서 철매염으로는 갈색을, 석회로는 호박색을 발색시킨다. 약용으로는 이담(利膽)·건위(健胃)·행기혈(行氣血)·통경(通經)·소종(消腫)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위염·간염·담낭 및 담도염(膽道炎)·황달·경폐(經閉)·산후어혈복통(産後瘀血腹痛)·질타손상(跌打損傷) 등에 치료제로 쓰인다.

식용으로는 주로 카레의 원료로 사용된다. 또한 황색결정 성분인 쿠르쿠민(curcumin)은 산에서는 황색, 알칼리에서는 적색으로 변색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쿠르쿠민페이퍼(curcumin paper)라는 pH시험지를 만들기도 한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산림경제(山林經濟)』
『상방정례(尙方定例)』
『규합총서(閨閤叢書)』
『본초강목(本草綱目)』
『현대본초학』(안덕균·육창수, 고문사, 1975)
『천연약물대사전』(김재길, 남산당, 1969)
『萬葉染色硏究』(上村六郎, 晃文社, 1943)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 답변

0 투표

울금(강황, Turmeric)

== 개요 ==
울금(강황)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초로, 뿌리줄기(근경)가 향신료이자 약재로 널리 쓰인다. 한국에선 ‘울금’이라고 부르지만, 영어권에선 Turmeric라 부르며 커큐민(curcumin) 성분 덕에 노란 색소와 건강 효능으로 유명하다.

== 학명 및 분류 ==

  • 학명: Curcuma longa
  • 과명: Zingiberaceae (생강과)
  • 속명: Curcuma
  • 원산지: 남아시아 열대·아열대 지역

== 특징 ==

  • 근경(뿌리줄기): 땅속에서 옆으로 길게 뻗는 덩이줄기로, 표면은 갈색빛에 속살은 진한 노란색.
  • 키와 잎: 높이 60~90cm까지 자라며, 잎은 생강과 비슷한 타원형.
  • 개화 시기: 여름철(6~8월)에 노란빛 꽃이 피지만, 약재로 쓰는 것은 주로 꽃이 피기 전 수확한 근경이다.

== 성분 및 효능 ==

  • 커큐민: 강력한 항산화·항염증 작용.
  • 터메론, 징게론 등 에센셜 오일: 소화 촉진과 항균 작용.
  • 비타민 및 미네랄: 비타민C, 비타민E, 망간, 칼슘 등이 소량 함유.

이 때문에 전통적으로 소화 불량, 관절 통증, 피부 트러블 개선 등에 활용해 왔다.

== 전통적·현대적 이용 ==

  • 아유르베다·중의학: 습(濕)을 제거하고 기혈 순환을 돕는 재료로 사용.
  • 한방: 울금가루를 차로 달여 먹거나, 환제로 만들어 관절염·타박상 치료에 활용.
  • 현대 건강식품: 커큐민 추출물 보충제, 항염·항산화 제품으로 인기.

== 요리 활용 ==

  • 커리 가루: 인도·남아시아 요리의 기본 향신료 중 하나.
  • 차(Tea): 따뜻한 물에 울금가루와 꿀, 레몬을 넣어 ‘골든밀크’ 또는 ‘울금차’로 즐김.
  • 소스·절임: 야채 절임, 마요네즈·드레싱 등에 색과 향을 더할 때 사용.

== 재배 및 보관 ==

  1. 재배 조건: 25~30°C의 고온 다습한 기후 선호. 배수가 잘되는 토양이 좋고, 반그늘에서도 잘 자란다.
  2. 수확 시기: 씨앗 잎이 시들고 나서 7~9개월 후에 근경을 캐어 올린다.
  3. 보관법:
    • 신선한 근경은 냉장(0~4°C)에 보관.
    • 가루로 만든 울금분말은 습기를 피해 밀폐 용기에 담아 실온에서도 수개월간 보관 가능.

== 주의사항 ==

  • 과다 섭취: 고용량 커큐민은 위장 불편,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다.
  • 혈액 응고: 항응고제 복용 중인 사람은 출혈 위험이 있으니 섭취 전 전문가와 상담 필요.
  • 알레르기: 생강과 계통이 비슷해 알레르기 반응이 있을 수 있다.

== 요약 ==
울금은 노란빛을 내는 커큐민 성분과 다양한 항산화·항염 작용 덕분에, 오랜 세월 전통 의학과 요리에 두루 사용되어 왔습니다. ‘골든밀크’나 커리, 차 등으로 간편히 즐길 수 있으니, 일상에서 자연스러운 건강 관리 재료로 활용해 보세요!

문의 17 시간 울면안데데 울금을 이용한 요리
구로역 맛집 시흥동 맛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add
...